타입추론이란?
타입스크립트에서 타입을 지정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할당된 값으로 타입을 추론하여 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.
let name = 'lee';
name = 1; // error
name이라는 변수에 'lee'가 갑으로 들어가면서 name의 타입은 string으로 설정이 되었고
이 상태에서 name 값을 1로 변경하면 타입이 string이 아니어서 에러가 발생하게 됩니다.
즉, 타입스크립트는 타입을 명시하지 않아도 타입추론을 통해서 변수의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는 건데요. 이때 타입추론은 컴파일러가 처음으로 할당된 값을 기준으로 타입을 추론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. 하지만 제일 좋은 건 바로 명시적으로 타입을 지정하는 것입니다. 왜냐하면 타입추론이 모호한 경우나 복잡한 로직에서는 타입추론에서 잘못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.
타입스크립트의 데이터 타입
타입스크립트에서 데이터 타입의 종류는 3가지로 분류가 됩니다. 기본데이터 타입과 객체타입, 특수타입이 있는데요.
| 데이터타입 | 정의 | |
| 기본테이터타입 | number | 숫자타입, 정수와 실수를 포함 |
| string | 문자열타입 | |
| boolean | 참, 거짓 | |
| null | 값이 없음 → 어떤 메모리도 저장하고 있지 않음 → 주소값이 없음 → 의도적 |
|
| undefined | 값이 할당되지 않은 변수의 기본값 → 의도하지 않음 |
|
| 객체타입 | object | 객체 |
| array | 동일한 타입의 요소를 가진 배열 | |
| tuple | 각 요소가 다른 타입을 가진 배열 cf. python의 tuple |
|
| 특수타입 | any | 어떤 타입이든 할당될수 있는 타입 → 타입을 지정해야하는데 어떤 타입인지 애매한 경우 → 임시타 |
| unknown | 타입을 미리 알수 없는 경우 사용되는 타 | |
'프로그래밍📚 > type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타입명시와 사용자 정의 타입 (0) | 2024.01.29 |
|---|---|
| 타입스크립트 시작하기 (0) | 2024.01.29 |